제주형 BRT 사업, 도민 불편 해소 후 진행한다
오영훈 지사, 교통전문가와 서광로 BRT 구간 현장점검 실시
김광우 기자
webmaster@newssearch.kr | 2025-10-27 20:05:14
[뉴스서치] 제주특별자치도는 서광로 간선급행버스체계(BRT) 구간의 안전 문제와 도민 불편을 해소할 개선방안을 마련한 뒤 동광로 BRT 고급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오영훈 지사는 27일 오전 8시 교통전문가와 함께 광양사거리 일대를 방문해 버스와 일반 차량의 상충 문제가 발생하는 구간을 직접 점검했으며, 현장에서 시민에게 의견을 묻기도 했다.
이 구간에서는 버스가 1차로에서 4차로로 급격히 차선을 변경하며 교통 체증의 원인으로 제기돼왔다.
오 지사는 “제주형 BRT 고급화 사업은 대중교통 속도 향상과 이용 편의성 증진에서 뚜렷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도민 안전이나 불편을 대가로 이뤄져서는 안 된다”며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도민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불편사항을 해소해 나갈 때 BRT 사업이 온전히 뿌리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주도는 당초 지난 9월부터 동광로 BRT 고급화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불편사항 해소를 위해 두 달간 서광로 BRT 개선 사항을 점검했다.
점검 결과, U턴 허용, 신호체계 개선, 가로변 버스 통행량을 줄이기 위한 시외버스 노선개편 등으로 교통 흐름이 나아진 측면은 있지만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판단이다.
특히 광양사거리와 오라오거리에서 버스가 우회전을 위해 급격하게 차로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교통 체증이 발생하고 있어 추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교통 전문가들은 광양사거리 일대에서 버스와 일반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차로 운영 개선과 신호체계 보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제주도는 이 구간에 버스 전용 우회전 차로 설치 등 교통안전 강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지난 5월 개통된 서광로 BRT 구간은 대중교통 속도가 42% 향상(10.8→15.4km/h)되고, 일반차량 속도도 47% 개선(12.6→18.5km/h)되는 성과를 거뒀다.
섬식정류장 도입으로 인도 잠식을 95% 줄이고 가로수 120그루를 보존했으며, 버스이용객도 전년 대비 10.55% 증가했다.
제주도는 개통 이후 주민설명회, 현장 모니터링, 민원접수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도민 의견을 적극 수렴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탑승구 안내체계 개선, 방향 표시 보완, 한국병원사거리 유턴 허용, 급행버스 운행경로 조정 등 22건의 개선 조치를 단계적으로 시행했다.
제주도는 전문가, 시민단체, 주민대표로 구성된 ‘제주형 BRT 고급화사업 안정화 전담팀(TF)’을 운영하고 있으며 서광로 BRT 구간의 개선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온라인 플랫폼과 주민설명회 등 다양한 의견 수렴 창구를 확대해 현장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
서광로 구간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동광로(2.1㎞), 도령로(2.1㎞), 노형로(3.3㎞) 등 나머지 구간에 대해서는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제주형 BRT 고급화 사업은 2023년부터 2026년까지 총 318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으로, 대중교통 혁신을 통한 도민 이동권 향상과 교통 체증 해소를 목표로 한다.
[ⓒ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