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 결과···대중교통 이용 27% 감소

최완호 기자

8179523@hanmail.net | 2021-03-23 22:38:54



[뉴스써치]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권용복)은 지난해 코로나-19 시대의 대중교통 이용실태를 분석·발표했다.

이번 빅데이터 분석은 시내버스, 광역·도시철도 이용시 교통카드를 사용한 전국 약 67억 2천만건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는 지난해 91억 8천만 건보다 26.8% 감소하였고, 2019년 수도권 이용건수 67억 9천만 건보다도 적은 이용량이다.

특히, 주말과 공휴일의 대중교통 이용건수는 작년 대비 36.1% 감소하여 주중 23.9%보다도 감소폭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대중교통 이용자들이 출·퇴근 목적 외에는 불필요한 외출을 줄인 것으로 보인다.

하루 평균 교통카드 이용건수는 전국 평균 27.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로 광주권은 31.5%로 감소폭이 가장 컸고, 대구권 30.8%, 대전권 29.2%, 수도권 26.9%의 순이었다.

수단별 통행량 증감률을 살펴보면 광역·도시철도 27.5%, 시내버스, 26.5%로 광역·도시철도의 감소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부산·울산권, 대구권, 대전권은 광역·도시철도 감소율이 시내버스 감소율보다 큰 반면, 광역·도시철도가 있어도 시내버스의 이용률이 높은 광주권은 시내버스의 감소율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대중교통 이용자의 월별 하루 평균 변동률은 2018년 14.9%, 2019년 15.0%의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으나, 지난해엔 41.0%의 높은 변동률을 보였다.

이와 같은 대중교통 이용량의 급격한 변동은 국내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시차를 두고 발생하였다.

2월 중순 신천지대구교회 관련 집단감염으로 감염병 위기경보는 ‘심각’ 단계로 격상됐다.


전국 유치원과 초ㆍ중ㆍ고등학교의 신학기 개학이 연기되고, 질병관리본부(현 질병관리청)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했다.

이 시점을 기준으로 대중교통 이용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재택근무와 이동자제 등으로 1월까지 전국 1일 평균 2,242만 건·일의 대중교통 이용량은 3월 1,489만 건/일(33.6%)로 크게 감소했다.

특히, 1차 대유행이 시작한 ’20년 2월 한 달 간 대구광역시의 대중교통 통행량은 2.3일 93만 통행/일에서 2.28일 29만 통행/일로 약 68.8% 감소하였다.

7월까지 코로나-19 발생 이전 수준으로 근접했던 대중교통 이용 회복세는 이동량 증가 및 ‘8.15 서울도심 집회’ 관련으로 집단감염이 증가하면서 감소세로 전환됐다.

8월 초 대비 18.1%까지 증가하던 수도권 대중교통 이용량은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300명을 돌파한 20일 이후 지속적인 감소로 이어져 31일에는 11.4%까지 감소했다.

11월까지 회복세를 보이던 대중교통 이용은 12월부터 다시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된 8일까지는 4.1%의 소폭 감소세를 보였으나,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950명을 초과한 11일 이후부터는 급감하기 시작했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시에서 오후 9시 이후 시내버스 운행을 30% 감축하기 시작한 5일에 서울시 이용률만 1.5% 감소하였고, 광역·도시철도까지 확대한 8일에는 서울 5.5%, 인천 3.0%, 경기 4.2% 등 수도권 전체 4.2%의 감소율을 보였다.

이후 크리스마스 주간으로 접어들면서 대중교통 이용량의 하락세는 잠시 주춤했으나, 크리스마스 연휴를 지나고 나서는 다시 크게 감소(10.9%)했다. 이는 ‘5인 이상 모임금지’ 정책, 연말 연휴 등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 10월부터 대중교통 통행량, 통행시간 및 거리 등 관련 분석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에서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운영하는 “교통카드 빅데이터 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대중교통수단 운영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련 지원정책 수립 및 향후 중장기 교통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하여 데이터 제공범위를 확대하고, 이를 통하여 민간에서 빅데이터 비즈니스 모델 개발, 새싹기업(스타트업) 육성 등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