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기원은 장애인심사의 지도자와 수련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심사과목 영상을 제작했다. 사진은 영상 캡처 화면. |
[뉴스서치] 국기원이 개원 이래 처음으로 국내 ‘장애인태권도심사’를 시행한다.
오는 10월 16일부터 19일까지 찾아가는 영상심사(비대면 심사)로 진행하는 장애인심사는 31명[정신장애 29명, 시각장애 1명, 언어(청각)장애 1명]의 응시자가 접수했다.
장애인등록증(장애인복지카드)을 소지한 응시자들은 1품 10명, 2품 1명, 1단 14명, 2단 5명, 3단 1명이며, 소속된 도장에서 심사에 참여한다.
장애인심사는 장애별로 각 품‧단에 해당하는 기본동작, 품새, 겨루기, 격파 등 심사과목으로 진행되며, 올해 1~3품·단 심사만 시범 시행하고 향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국기원은 장애인들이 태권도 심사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체계적인 승품·단 심사 기회를 제공, 태권도 수련을 장려하고자 2023년 7월부터 장애인심사를 준비해 왔다.
또한, 장애인심사의 지도자와 수련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심사과목 영상을 제작해 티콘(TCON)을 통해 보급하고 있다.
윤웅석 국기원장은 “장애인심사는 기존의 심사 방식과 달리 장애인들의 특성을 고려해 유연한 심사 방식을 적용했다”며 “이번 심사 시행을 통해 장애인 태권도 가족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태권도 저변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장애인심사 시행과 관련 자세한 사항은 티콘(TCON) 내 승품‧단 심사의 장애인 심사안내 메뉴를 참고하면 된다.
한편, 국기원은 장애인심사 시행을 위해 지난 9월 30일 강습회를 개최, 심사 평가위원과 진행위원을 대상으로 장애인 인식개선, 심사규칙 및 평가 방법, 실기(기본동작, 품새, 겨루기, 격파) 교육 등을 진행했다.
[ⓒ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