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주관하는 사업으로 공공, 대학도서관을 거점으로 지역주민에게 지역의 역사, 문화, 예술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해 인문학 강의와 탐방을 진행하는 사업이다.
중앙도서관은‘전쟁으로 보는 현대사’라는 주제로 기존 서유럽-미국 중심의 역사 강좌에서 벗어나 러시아를 포함한 구 공산권 국가와 중국의 역사·대외관계를 전쟁사를 통해 재조명하는 시간을 가지고자 했으며 강연 3회, 탐방 1회, 후속모임 1회로 총 5회에 걸쳐 진행됐으며 총 125여명의 오산시민들이 참여했다.
강연과 탐방 모두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했으며 2차 세계대전과 우크라이나-러시아의 역사적 연원을 주제로 러시아의 근현대사를 살펴볼 수 있었던 ‘철(鐵)의 장막을 열다(1~2차)’와 아편전쟁부터 한국전쟁까지 중국이 참전했던 전쟁사를 통해 근현대 중국의 역사를 알 수 있었던 ‘죽(竹)의 장막을 열다(3차)’
그리고 아시아 최대 무기 전시장이자 국내 유일 전쟁박물관인 용산 전쟁기념관 탐방(4차), 전쟁 영화 감상 후 자유 토론을 진행했던 영화로 보는 현대사(5차) 까지 다양하고 알찬 구성으로 진행되어 평소에 접하기 힘들었던 주제를 도서관에서 접할 수 있어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프로그램의 참여한 한 수강생은 “현재진행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과의 문화적·역사적 갈등,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충돌에 대한 인과관계 등에 대해 방송 매체로만 내용을 접하다가 동네 도서관에서 전문가에 직접 자세한 내용을 듣고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어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넓어졌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오산시 도서관 한현 관장은 “그동안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문학에 대한 지적탐구를 억눌러야 했던 시민들을 위해 어디서도 쉽게 접할 수 없는 인문학 주제를 집 앞에서 들을 수 있도록 해 지역 내 문화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했다”고 하며 “올해 길 위의 인문학 사업에서 아쉬운 부분은 보완하고 좋았던 부분은 발전시켜 앞으로의 도서관 인문학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전했다.
[ⓒ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