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유물 공개구입은 시대를 이끈 농촌계몽운동가이자 여성독립운동가로서 안산을 대표하는 최용신 선생의 역사성을 널리 알리고 시대적 의미를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종 구입한 유물은 1961년 개봉작 ‘상록수’의 장면과 함께 ‘서른해 상록수는 푸르러, 최용신양의 첫 추도식’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실린 1962년 신문기사와 1900년대 초 구한말의 풍속이 담긴 스테레오 뷰와 입체경 세트, 최용신 선생의 고향인 함경남도 원산의 옛 모습이 담긴 ‘금강산 사진첩’ 등이다.
유물 공개구입은 지난 3월 구입공고를 통해 전국의 유물 매도를 희망하는 개인과 문화재 매매업자, 단체 등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접수된 유물은 두 차례 이뤄진 전문가의 감정평가를 거쳐 역사적 가치가 증명된 것으로 엄선했다.
문화재보호법에 위반되는 도굴품·도난품 등 불법유물 및 출처가 불분명한 유물들은 최종 선정에서 제외됐다.
상록구에 위치한 최용신기념관은 2007년 개관 이래 매년 유물 공개구입을 추진, 이번 공개구입품을 포함해 현재까지 총 1,370건 1,550점의 소장품을 수집해 보관·전시 중이다.
최용신기념관의 소장품은 기념관 인터넷 홈페이지를 비롯해,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에서 이미지와 함께 관련 설명을 접할 수 있다.
이민근 안산시장은 “이번 공개구입에 많은 관심 보내주셔서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최용신 선생의 역사자료들을 수집하고 보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새롭게 수집된 유물들은 상설 및 온라인 전시, 교육프로그램 등을 통해 공개 전시해 최용신 선생의 훌륭한 정신을 알려나가겠다”고 말했다.
[ⓒ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