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파랑길 통영구간 트레킹 2부(15코스, 27코스)

김평진 기자 / 2022-08-18 22:32:32


견유마을에서 바라본 거제대교. 통영 용남면 장평리 신거제대교와 거제대교 중간에 제법 큰 어항인 ‘견유항’이 있다. 신거제대교 통영시 진입부 바로 남쪽에 있으며 방파제와 어판장도 있으며 인근에 아파트와 주택도 있는 등 제법 큰 마을인 ‘견유마을’을 이루고 있다. 견유마을에서는 북쪽으로 신거제대교가 눈앞에 보이며 남쪽으로도 거제대교가 뚜렷이 보인다. 예전에는 통영과 거제를 잇는 유일한 대교가 ‘거제대교’ 였는데 교통량이 많아지자 1999년 ‘신거제대교’를 추가로 건설하였다. 거제대교와 신거제대교 아래 바다가 바로 유명한 ‘견내량해협’이다.
견유마을에서 바라본 거제대교. 통영 용남면 장평리 신거제대교와 거제대교 중간에 제법 큰 어항인 ‘견유항’이 있다. 신거제대교 통영시 진입부 바로 남쪽에 있으며 방파제와 어판장도 있으며 인근에 아파트와 주택도 있는 등 제법 큰 마을인 ‘견유마을’을 이루고 있다. 견유마을에서는 북쪽으로 신거제대교가 눈앞에 보이며 남쪽으로도 거제대교가 뚜렷이 보인다. 예전에는 통영과 거제를 잇는 유일한 대교가 ‘거제대교’ 였는데 교통량이 많아지자 1999년 ‘신거제대교’를 추가로 건설하였다. 거제대교와 신거제대교 아래 바다가 바로 유명한 ‘견내량해협’이다.


[뉴스써치] 남파랑길 통영구간 두번째 코스인 15코스는 경남 통영시 용남면 장문리 통영충무도서관에서 시작하여 장문리 기호마을, 대안마을, 신리마을, 삼화리 음촌마을, 양촌마을을 지나 원평리 원평초등학교, 원평방조제를 통과한 후 장평리 견유마을을 거쳐 동쪽으로 방향을 잡아 신거제대교를 건넌 뒤 거제시 사등면사무소까지 이어지는 코스이다. 또한 남파랑길 27코스는 거제시 둔덕면 방하리 청마기념관에서 시작하여 거제 둔덕기성을 지나 사등면 오량리에 접어든 후 오량교차로를 통과하여 덕호리에 들어서게 되고 오량초등학교, 견내량항, 신촌정류장을 거쳐 서쪽으로 방향을 잡아 거제대교를 건너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 신촌마을까지 연결된 코스이다.



남파랑길 15코스 시작점. 남파랑길 15코스는 경남 통영시 용남면 장문리에 있는 통영충무도서관에서 시작한다. 이곳에서 기호마을까지 통영 죽림만 바다해변으로 길이 이어져 있다. 바닷가 도로 건너 장문리 기호마을과 기호방파제가 보인다. 
남파랑길 15코스 시작점. 남파랑길 15코스는 경남 통영시 용남면 장문리에 있는 통영충무도서관에서 시작한다. 이곳에서 기호마을까지 통영 죽림만 바다해변으로 길이 이어져 있다. 바닷가 도로 건너 장문리 기호마을과 기호방파제가 보인다.


필자는 남파랑길 통영구간 15코스 시작점인 통영시 용남면 장문리 통영충무도서관에서 트레킹을 시작하여 남파랑길 15코스 따라 동쪽방향으로 진행하여 ‘신거제대교’를 건너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오량1교까지 걸은 후 다시 통영으로 돌아가기 위해 남파랑길 27코스에 합류한 뒤 서쪽방향으로 오량1교, 오량초등학교, 견내량항, 신촌정류장을 통과한 후 ‘거제대교’를 건너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 신촌마을까지 걷게 되는 남파랑길 15코스 일부와 27코스 일부를 연결하는 약 11.5km를 트레킹하려고 계획하였다.



통영 용남면 장문리 대안마을. 통영시 용남면 장문리의 경우 남쪽에서 북쪽으로 기호마을, 대안마을, 신리마을 등 자연부락이 위치해 있다. 특히 대안마을 입구에는 오래된 고목이 자리잡고 있어 대안마을을 지키고 있다. 
통영 용남면 장문리 대안마을. 통영시 용남면 장문리의 경우 남쪽에서 북쪽으로 기호마을, 대안마을, 신리마을 등 자연부락이 위치해 있다. 특히 대안마을 입구에는 오래된 고목이 자리잡고 있어 대안마을을 지키고 있다.


필자는 통영시 용남면 장문리 통영충무도서관에서 남파랑길 통영구간 14코스 트레킹을 마친 뒤 잠시 휴식시간을 갖고 오후 4시 5분 남파랑길 15코스 트레킹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용남면 장문리 서쪽 해안마을인 기호마을을 오후 4시 12분에 통과한 후 해안을 따라 북동쪽으로 발걸음을 내딛어 오후 4시 31분 대안마을, 오후 4시 42분 신리마을을 지났다.



신리마을 버스정류장. 통영시 용남면 장문리 가장 북쪽에 ‘신리마을’이라는 자연부락이 있다. ‘신리마을’은 바닷가에 바로 인접해 있는 전형적인 어촌마을이다. 신리마을 버스정류장은 바닷가 포구에 바로 접해 있어서 버스를 기다리면서 통영 바다의 풍경을 맘껏 감상할 수 있다. 
신리마을 버스정류장. 통영시 용남면 장문리 가장 북쪽에 ‘신리마을’이라는 자연부락이 있다. ‘신리마을’은 바닷가에 바로 인접해 있는 전형적인 어촌마을이다. 신리마을 버스정류장은 바닷가 포구에 바로 접해 있어서 버스를 기다리면서 통영 바다의 풍경을 맘껏 감상할 수 있다.


발걸음을 계속하여 용남면 장문리를 뒤로하고 삼화리에 접어들게 되었는데, 오후 4시 57분 음촌마을, 오후 5시 6분 양촌마을 입구를 지난 후 Y자 갈림길에서 우측 ‘논싯골길’로 접어 들었다. 논싯골길을 따라 완만한 오르막 경사의 길을 한참 걷다보면 고개마루에 있는 통영보금자리요양원을 만나게 된다.


필자는 오후 5시 22분 보금자리요양원을 통과한 뒤 완만한 내리막길을 걸어 내려가 시외버스가 다니는 큰길인 적촌길에 합류한 뒤 좌측으로 방향을 잡아 트레킹을 계속하여 오후 5시 32분 ‘원평초등학교’에 도착한 뒤 약 5분간 시골 초등학교 안에 있는 벤치에 앉아 예전 필자가 다녔던 시골 초등학교의 추억을 떠올리면서 잠시 휴식을 취하였다.



통영 용남면 원평항. 통영 용남면의 가장 북쪽에 자리잡고 있는 부락이 ‘원평리’이다. 원평리에는 원평초등학교가 있고 그 북쪽에 아파트 단지가 현재 건축 중에 있다. 또한 내포마을, 적촌마을, 죽촌마을 등이 있으며, 원평리 동쪽에 ‘원평방파제’, ‘원평항’이 자리잡고 있다. ‘원평항’은 바다낚시를 즐기는 낚시꾼들을 위한 낚시배가 출항하는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통영 용남면 원평항. 통영 용남면의 가장 북쪽에 자리잡고 있는 부락이 ‘원평리’이다. 원평리에는 원평초등학교가 있고 그 북쪽에 아파트 단지가 현재 건축 중에 있다. 또한 내포마을, 적촌마을, 죽촌마을 등이 있으며, 원평리 동쪽에 ‘원평방파제’, ‘원평항’이 자리잡고 있다. ‘원평항’은 바다낚시를 즐기는 낚시꾼들을 위한 낚시배가 출항하는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다시 트레킹을 재개한 뒤 오후 5시 43분 원평방조제에 도착하였고 해안을 따라 계속 걸어 원평리를 뒤로하고 장평리에 접어들었다.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는 “귀신잡는 해병대”라는 말이 시작되게 한 ‘통영상륙작전’에서 해병대 김성은 부대가 상륙했던 곳이다. 해병대 김성은 부대는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8월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 해변에 상륙하여 통영과 거제도를 점령하려던 북한군 7사단을 무찌르고 통영시가지를 완전 탈환한 후 적의 공격로인 통영입구 원문고개(현재 통영시 무전동 소재)를 필사적으로 방어하는데 성공하였다.



통영타워휴게소. 통영 용남면 장평리 신거제대교 진입부에 ‘통영타워휴게소’가 있다. 통영타워휴게소 7층과 8층은 전망대 카페가 있는데 원형 통유리로 되어 있어 360도 모두 전망뷰를 체험할 수 있다. 통영타워 7층, 8층 전망대에서는 ‘신거제대교’ 뿐만 아니라 ‘거제대교’도 한눈에 보이며, 견내량해협도 한꺼번에 조망된다.
통영타워휴게소. 통영 용남면 장평리 신거제대교 진입부에 ‘통영타워휴게소’가 있다. 통영타워휴게소 7층과 8층은 전망대 카페가 있는데 원형 통유리로 되어 있어 360도 모두 전망뷰를 체험할 수 있다. 통영타워 7층, 8층 전망대에서는 ‘신거제대교’ 뿐만 아니라 ‘거제대교’도 한눈에 보이며, 견내량해협도 한꺼번에 조망된다.


이 ‘통영상륙작전’을 취재한 뉴욕 해럴드 트리뷴의 종군기자인 ‘마거릿 히긴스’가 대한민국 해병대의 활약상을 “귀신잡는 해병대(They might capture even devil)"라고 소개함으로써 이후 "귀신잡는 해병대"가 대한민국 해병대를 상징하는 별칭 중의 하나가 되었다. 현재 원문고개에는 충혼탑과 해병대통영상륙작전기념관이 있어 통영상륙작전의 의미와 피흘려 통영을 지켜낸 해병들의 넋을 기리고 있다.



신거제대교 위에서 바라본 고개도. 통영 용남면 장평리 신거제대교 통영진입부에서 신거제대교에 진입한 뒤 동쪽으로 걸어가면 거제시 사등면 오량리에 이르게 된다. 오량리 바닷가에는 후포항이라는 조그마한 포구가 있는데 포구 바로 앞에 ‘고개도’, ‘작은고개섬’, ‘등대도’가 연이어 있다. ‘고개도’는 거제시의 유인도 중 가작 작은 섬인데 현재 1가구가 상주하여 살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 ‘고개도’는 견내량 반대편 입구 있는 ‘해간도’와 더불어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고개도’와 ‘해간도’는 조선 수군의 정찰 목적을 띤 첨병들의 정박지 역할을 했던 곳으로 전해지고 있다. 신거제대교 위에서는 북쪽방향으로 견내량해협 입구를 지키고 있는 ‘고개도’가 한눈에 조망된다.
신거제대교 위에서 바라본 고개도. 통영 용남면 장평리 신거제대교 통영진입부에서 신거제대교에 진입한 뒤 동쪽으로 걸어가면 거제시 사등면 오량리에 이르게 된다. 오량리 바닷가에는 후포항이라는 조그마한 포구가 있는데 포구 바로 앞에 ‘고개도’, ‘작은고개섬’, ‘등대도’가 연이어 있다. ‘고개도’는 거제시의 유인도 중 가작 작은 섬인데 현재 1가구가 상주하여 살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 ‘고개도’는 견내량 반대편 입구 있는 ‘해간도’와 더불어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고개도’와 ‘해간도’는 조선 수군의 정찰 목적을 띤 첨병들의 정박지 역할을 했던 곳으로 전해지고 있다. 신거제대교 위에서는 북쪽방향으로 견내량해협 입구를 지키고 있는 ‘고개도’가 한눈에 조망된다.


트레킹을 계속해서 필자는 남해안대로 밑을 지나는 굴다리를 통과하여 오후 5시 54분 장평리 견유마을을 지났고 오후 6시 8분 거제대교 통영측 진입부에 도착하였다.


필자는 견내량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닷바람을 헤치면서 ‘신거제대교’를 건너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에 도착하였고 오후 6시 25분 거제수협 수산물가공공장 정문 앞에 있는 오량1교에 접어 들었다.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오량1교. 통영 용남면 장평리에서 신거제대교를 건너면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와 오량리에 도착하게 된다. 신거제대교 바로 아래 거제수협 수산물가공공장이 있는데 그 바로 앞에 ‘오량1교’가 있다. 이 ‘오량1교’에서 남파랑길 15코스와 27코스가 교차한다. 남파랑길 15코스는 오량1교를 건너 북쪽방향으로 사등면사무소까지 이어지며, 남파랑길 27코스는 오량1교 앞에서 서남쪽 방향으로 견내량항, 거제대교로 이어진다.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오량1교. 통영 용남면 장평리에서 신거제대교를 건너면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와 오량리에 도착하게 된다. 신거제대교 바로 아래 거제수협 수산물가공공장이 있는데 그 바로 앞에 ‘오량1교’가 있다. 이 ‘오량1교’에서 남파랑길 15코스와 27코스가 교차한다. 남파랑길 15코스는 오량1교를 건너 북쪽방향으로 사등면사무소까지 이어지며, 남파랑길 27코스는 오량1교 앞에서 서남쪽 방향으로 견내량항, 거제대교로 이어진다.


남파랑길 15코스는 오량1교를 건너 거제시 사등면 후포항, 청포항, 청곡마을, 지석마을을 지나 성포리 사등면사무소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필자는 남파랑길 15코스 중 나머지 거제시구간 트레킹은 나중에 하기로 하고 다시 통영시로 돌아가기 위해서 오량1교에서 남파랑길 27코스로 합류하여 거제대교를 향하여 남서쪽 방향으로 걸음을 재촉하였다.



견내량항 포구. 경남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견내량 해협 동쪽 해안에 ‘견내량항’이라는 어촌정주어항이 있다. 견내량항에서는 바로 북쪽에 신거제대교가 있어 눈앞에서 신거제대교 교각을 볼 수 있다. 또한 견내량항 남쪽에 거제대교도 있어 한가로운 시골 포구에서 통영과 거제를 잇는 다리 2개를 한꺼번에 조망할 수 있다.
견내량항 포구. 경남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견내량 해협 동쪽 해안에 ‘견내량항’이라는 어촌정주어항이 있다. 견내량항에서는 바로 북쪽에 신거제대교가 있어 눈앞에서 신거제대교 교각을 볼 수 있다. 또한 견내량항 남쪽에 거제대교도 있어 한가로운 시골 포구에서 통영과 거제를 잇는 다리 2개를 한꺼번에 조망할 수 있다.


필자는 오후 6시 38분에 오량초교를 지났고, 오후 6시 45분 신거제대교와 거제대교 중간에 있는 ‘견내량항’에 도착하여 잠시 휴식을 취하면서 북쪽 신거제대교와 남쪽 거제대교를 번갈아 보면서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을 비롯한 조선 수군이 거둔 한산대첩의 역사적 현장에서 나른한 상념에 빠져 한여름 늦은 오후의 여유로움을 만끽하였다.



거제대교에서 바라본 해간도. 견내량해협 북쪽 입구를 막고 있는 섬이 ‘고개도’이며, 남쪽 입구를 막고 있는 섬은 ‘해간도’이다. ‘해간도’는 자연산 미역으로 유명한 섬인데, 2009년 용남면 연기마을과 해간도를 연결하는 다리가 개통되었다. 해간도 앞 바다는 임진왜란 때 격전지로 유명하다. 거제대교에서 남쪽 방향으로 견내량바다를 바라보면 멀리 연륙교로 육지와 연결된 해간도의 모습이 조망된다. 
거제대교에서 바라본 해간도. 견내량해협 북쪽 입구를 막고 있는 섬이 ‘고개도’이며, 남쪽 입구를 막고 있는 섬은 ‘해간도’이다. ‘해간도’는 자연산 미역으로 유명한 섬인데, 2009년 용남면 연기마을과 해간도를 연결하는 다리가 개통되었다. 해간도 앞 바다는 임진왜란 때 격전지로 유명하다. 거제대교에서 남쪽 방향으로 견내량바다를 바라보면 멀리 연륙교로 육지와 연결된 해간도의 모습이 조망된다.


다시 정신을 차려 트레킹을 재개하였고 오후 6시 56분 ‘거제대교’ 거제측 진입부에 접어 들었고 거제대교를 건너 서쪽에 있는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 신촌마을에 오후 7시 10분에 도착하여 남파랑길 통영구간 15코스, 27코스 연계 트레킹을 완료하였다.

이번 남파랑길 15코스 일부와 27코스 일부 연계 트레킹 총 거리는 11.53km 였고, 걸은 시간은 휴식시간을 포함하여 총 3시간 3분이 소요되었다.



거제대교에서 바라본 장평리 견유마을. 거제대교 거제 진입부에서 서쪽방향으로 다리를 건너면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에 접어들게 된다. 거제대교 다리 중간에서 북쪽으로 견내량해협과 견유마을이 한눈에 조망된다. 견유방파제와 해변으로 연결된 도로, 견유항 뒤로 형성된 마을과 아파트 등이 독특한 분위기의 ‘견유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거제대교에서 견유마을을 바라보면 마을 뒤로 통영타워휴게소 건물도 보인다.
거제대교에서 바라본 장평리 견유마을. 거제대교 거제 진입부에서 서쪽방향으로 다리를 건너면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에 접어들게 된다. 거제대교 다리 중간에서 북쪽으로 견내량해협과 견유마을이 한눈에 조망된다. 견유방파제와 해변으로 연결된 도로, 견유항 뒤로 형성된 마을과 아파트 등이 독특한 분위기의 ‘견유마을’을 형성하고 있다. 거제대교에서 견유마을을 바라보면 마을 뒤로 통영타워휴게소 건물도 보인다.


# 트레킹 코스 : 통영시 용남면 장문리 통영충무도서관(16:05) - 기호마을(16:12) - 대안마을(16:31) - 신리마을(16:42) - 연각사(16:49) - 삼화리 음촌마을(16:57) - 양촌마을(17:06) - 원평리 보금자리요양원(17:22) - 원평초교(17:32) - 원평방조제(17:43) - 장평리 견유마을(17:54) - 신거제대교(18:08) -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오량1교(18:25) [여기까지는 남파랑길 15코스] - [여기서부터는 남파랑길 27코스] 오량1교(18:30) - 오량초교(18:38) - 견내량항(18:45) - 신촌정류장(18:52) - 거제대교(18:56) -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 신촌마을(19:10)



남파랑길 15코스, 27코스 연계 트레킹코스 및 기록
남파랑길 15코스, 27코스 연계 트레킹코스 및 기록


필자는 트레킹 후 신촌마을 버스정류장에서 통영 100번 시내버스를 타고 통영시내 중심부로 들어와 ‘서호시장’ 버스정류장에서 하차하였다. 통영시내를 걸으면서 구경한 뒤 통영항 여객선터미널 인근 식당에서 저녁식사를 하였고 식사 뒤 인근 숙소에서 여장을 풀고 남파랑길 통영구간 트레킹 첫날 일정을 마무리 하였다.



[ⓒ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