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열성 감염병은 주로 매개 감염병에 의한 것으로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과 같은 ‘진드기 매개’와,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등에 의한 ‘설치류 매개’ 등이 있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쯔쯔가무시증’은 10~12월에 자주 발생하는 대표적인 가을철 발열 질환이다.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며 1~3주 잠복기 후 발열·두통 등의 증상과 물린 부위에 약 1cm의 딱지가 생긴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에 방문해야 한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4~10월에 많이 발생하며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 잠복기를 거쳐 고열·오심·구토·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SFTS는 예방 백신이 없고 심하면 혈소판과 백혈구 감소로 사망에 이를 수 있기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 시, 긴 옷과 팔토시, 장화 등을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풀밭에 앉거나 눕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귀가 후 즉시 옷을 세탁하고 목욕하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뿐만 아니라 들쥐 등의 설치류를 통해 전파되는 ‘신증후군출혈열’과 ‘렙토스피라증’도 주로 가을철에 발생한다.
‘신증후군출혈열’은 대부분 10~12월에 나타나며 주로 야외생활자들이 많이 감염된다.
감염된 설치류의 배설물, 타액에서 배출된 바이러스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감염된다.
잠복기는 2~3주이며 발열·출혈 소견·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야외활동 후 귀가 시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샤워를 하는 등 청결에 주의하고 감염 위험성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예방접종 받기를 권유한다.
‘렙토스피라증’은 9~11월 추수기에 농촌지역에서 발생한다.
균에 감염된 설치류 및 가축의 소변이나 오염된 물을 통해 사람의 피부, 상처 등으로 감염된다.
잠복기는 5~14일이며 고열·두통·구토·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물에서 작업할 시 장화, 장갑 등 작업복을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
고동훈 오산시보건소장은 “감염병 예방을 위해 보건소 및 감염병관리지원단과 함께 예방교육 및 홍보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며 “평소 가을철 발열성 질환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받을 것을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