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써치] 서울시가 수도권과 주요 거점 간 빠른 접근과 대중교통 이용 편익 향상을 위해 국토교통부에 도시철도 주요 환승 거점 구축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정거장 추가 신설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는 수도권 주민들의 교통복지와 만성적 교통난 해소를 위해 주요 거점역을 30분대로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망 구축을 목적으로 A,B,C의 3개 노선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서울시내에는 서울역, 청량리역, 삼성역 등에 GTX 정거장 신설이 예정돼 있다.
그러나 기존 계획에 의하면 서울 도심까지는 빠르게 접근가능하나, 환승을 통한 실제 목적지까지 도달방안에 대해서는 충분한 고려가 부족해 향후 수도권 이용객의 불편이 예상돼왔다.
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설 정거장을 선정, 건의하였으며, 향후 추가 정거장이 신설되면 수도권 외곽에서 장거리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승객들에게 편리한 GTX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한편, 서울로 출퇴근하는 수도권 주민의 절반 이상이 서울 중심부로 이동을 하며, 실제 서울 중심부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비율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TX 이용객의 환승비율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계획을 보완해 서울 시내로 진입하는 수도권 이용객을 위해 주요 환승 거점 정거장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심 진입 이후 1·2차 환승이 이루어지는 실제 통행패턴을 고려하면 GTX 이용 시 서울 시내 진입 후 환승을 통해 최종목적지까지 빠르게 갈 수 있도록 최적의 환승거점에 GTX가 정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기존 계획에 더하여 광화문(시청)역(GTX-A), 동대문(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GTX-B), 왕십리역(GTX-C) 등 세 역을 새롭게 신설해 줄 것을 건의한 것이다.
이 세 역은 주요 거점을 경유하는 순환 노선인 지하철 2호선뿐만 아니라 1호선, 4호선, 5호선, 분당선 및 경의중앙선 등과도 연계돼 서울 도시철도와 연계성이 높고, GTX 이용 시에도 여러 번 환승하지 않아도 돼 이동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
현재 계획 상 주요 거점 간 역간 거리는 약 8km에 이르지만, 서울시가 제안한 3개 역은 기존 계획 상 중간 위치에 있으면서도 서울에 진입하는 이용객들이 서울 동서남북을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고려됐다.
또한 철도 네트워크 조성 효과도 높다. 신설을 건의한 3개의 정거장은 GTX 환승 거점 지역인 서울역, 청량리, 삼성역(골드 트라이앵글) 내에 위치하면서도 2호선, 4호선, 5호선 등 주요 노선과 연계가 높아 효율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수도권 시민을 위한 공공 교통 서비스 질이 높아져 이동 분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망 연계로 직주 접근성도 높아져 서울 시내 승용차 이용량 감소까지 이어지는 등 친환경 교통 체계 마련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 이용객의 대부분은 도심 내 출퇴근을 목적으로 이동하므로, 이용시 불편한 점으로 꼽혔던 장거리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더욱 편리한 철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서울시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정거장 추가 신설과 관련하여 국토교통부에 정식으로 건의했으며, 향후 국토교통부 등 관련기관과 정거장 설치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 뉴스써치. 무단전재-재배포 금지]